2011년 7월 4일 농장 한켠에서 자라고 있는 100년 된 살구나무에서 딴 열매랍니다.
염색체험을 위한 준비 작업(우물물을 담기 위한 물탱크 청소)
여기 저기 놓여 있던 돌확,절구를 한쪽에 가지런히 정리해 두었답니다.
염색천을 건조할 하우스대로 만든 임시건조대
‘살리고 구하기’ 때문에 살구열매를 즐겨 먹어야 한다.
2008년도 6월 ‘사람 살리는 살구나무’ 기사 이후 쪼금씩 만들어 먹었던 살구열매 곶감을 올해엔 넉넉히 만들기 위해 서너 선생님들과 작업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제철음식이 우리 몸에 좋다는 이유는 5000년을 살아온 선조들의 혜안과 지혜 속에 모두 담겨있기 때문입니다.
이글을 읽는 독자들은 요즘 매실, 오디, 비파, 남쪽바닷가 상동열매 등 여러 열매를 효소로 만들어 일년 내내 드셔야 하기에 옹기항아리를 소독하고 계실 것 같습니다.
살구나무(장미과:Prunus armeniaca var. ansu Maxim)의 연분홍 꽃과 노랗게 익은 열매는 살구를 보고 있는 이들의 마음을 편안하게 해준다고 합니다.
선조들은 살구를 장수와 건강의 원천이라 여겨 5과 중의 하나로 귀한 대접을 했고, “살구나무 숲이 있는 곳에는 염병이 돌지 않는다”라는 말로 살구에 대한 무한신뢰를 했습니다. 배고픔이 한창인 보릿고개 시절에 먹음직스럽게 노랗게 익은 살구는 밥의 일부분으로 매우 요긴했고, 먹고 난 씨앗은 행인(杏仁)이라 하여 다양한 종류의 약재로 귀하게 쓰여 왔기에 집주변에 많이 심었습니다.
살구나무가 많은 숲을 동선행림(董仙杏林) 혹은 행림(杏林)이라고 부릅니다. 나이 지긋하신 어르신들은 한의원을 행림(杏林)이라고 부르지요.
그 연유는 ‘신선전’에 실린 ‘동봉의 살구나무’에서 비롯되었습니다.
삼국(三國)시대, 오(吳)나라에 동봉이라는 의술이 뛰어난 의사가 있었습니다. 그는 뛰어난 의술로 많은 환자들의 병을 고칠 수가 있었는데 환자들에게 치료비 대신 집 뒤의 동산에 살구나무를 심으라고 했습니다. 병이 중했던 환자에게는 다섯 그루, 가벼운 병에는 한 그루를 심게 했습니다. 그렇게 살구나무를 심다 보니 어느새 동산은 살구나무 숲을 이루게 되어 동봉은 이 나무에서 나온 살구로 계속 환자를 치료하는 한편 일부는 곡식으로 바꾸어 가난한 사람들에게 나누어 주기도 했습니다.
사람들은 이 숲을 ‘동봉 신선의 살구나무숲(杏林)’이라 부르게 되었는데, 오늘날 의학계에서 진정한 의술을 펼치는 의원 역시 같은 말로 표현합니다. 또한 한의대에서 펼치는 축제의 이름들이 하나같이 ‘행림제’라고 하는 이유와 과거 한의사협회의 상징 문양이 살구꽃 모양인 것도 같은 이유라고 합니다.
김세진 <나무병원 杏林 /숲해설가>
- 농업경영종합자금
- 농업인이 자금이 필요할 때마다 자율적인 사업계획에의거 수시로 농협에 대출신청하면 농협에서 경영능력과 사업타당성 등을 심사하여 수시로 대출대상자로 선정한 후 시설자금, 개보수자금, 운전자금을 연계하여 빌려드리며, 생산, 경영관리, 판매 등 필요한 경영컨설팅까지 함께 지원해 드리는 편리한 농업정책자금입니다.
- 지원대상자
- 원예특작, 축산분야에 재배, 종사중이거나 신규로 종사하려는 경영체
- 쌀농업에 종사하는 농업경영체(※)
- 원예특작, 축산분야의 유통, 가공, 저장사업에 종사하는 자로서 정책자금을 지원받는 시설로 사업중인 경영체 (RPC사업자는 제외)(※)
- 농어촌정비법에 의한 관광농원사업자(※)
- (※) 표지대상자는 시설자금을 제외한 해당분야의 개보수, 운전자금만 지원됩니다.
대출신청시 법인, 유통가공경영체, 금융기관 총대출금이 3억원 이상인 개인의 경우 최근 1년이상의 복식부기에 의한 회계기록 또는 재무제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
- 지원자격
- 지원금액
- 소요금액의 100%이내에서 심사결과 결정된 금액
- 지원금리
- 연 5%
- 용도별 지원조건
- 시설자금 : 3년 거치 10년 원금균등 상환
(단 철골온실, 축산은 5년거치 10년 원금균분 상환, 인삼은 연근별로 5년이내 일시상환) - 개보수자금 : 2년거치 3년 원금균분 상환
- 운전자금 : 2년이내 일시상환
- 시설자금 : 3년 거치 10년 원금균등 상환
- 원리금 납입
- 할부금 또는 이자는 대출일로부터 1년마다 납입
- 지원금액
- 지원내용
- 시설자금
- 생산·재배시설의 설치(증축포함)에 소요되는 자금
- 생산·재배시설과 연계된 저장, 유통, 가공시설의 설치에 소요되는 자금
- 2천만원이상의 에너지절감시설, 온실기능향상 시설에 소요되는 자금
- 일정한 요건을 갖춘 토지매입자금, 전세금 형태의 토지임차자금 등
- 개보수자금
- 기존시설의 개수·보수 또는 기계장비 구입에 소요되는 자금
- 2천만원미만의 시설자금
- 농업관련 목적을 위한 PC구입자금
- 번식용 한우암소 또는 착유우의 구입에 소요되는 자금
- 시설자금 요건에 미달되는 경우의 토지임차 자금 등
- 운전자금
- 종묘비, 농약비 등 사업운영에 소요되는 자금
- 우량묘삼 식재자금
- 농업경영컨설팅지원사업의 자부담 해당금
- 정기적으로 임차료를 지급하는 형태의 토지 임차자금 등
- 시설자금
- 지원신청 및 절차
- ① 대출상담 및 사업계획수립
- 농협부안군지부, 군청, 농업기술센터 등에서 연중 수시 상담 가능
- 사업계획 수립 및 사업계획서 작성
- ② 대출신청 및 사업계획 검토 - 농협부안군지부에 신청(대출취급사무소)
- 사업계획에 대한 검토 및 행정기관에 지원적격 여부 의견 요청
- ③ 대출심사
- 경영평점 산출(50첨 이상 대출가능)
- 사업타당성 평가(3등급 이상 대출가능)
- ④ 대출실행
- 대출실행(시설, 개보수자금은 사업실적에 따라 일시 또는 분할 대출)
- 대출시 필요한 서류
- 농업경영종합자금 대출신청서
- 사업계획서
- 기타 대출신청에 필요한 서류
- ① 대출상담 및 사업계획수립
- 농업경영컨설팅 지원안내
- 신청자격
- 농업경영종합자금 대출대상자이거나
- 원예특작, 축산분야, 법인경영체 또는 개별농가로써, 농업정보화 교육을 정해진 일이상 이수하고 농림수산정보망 또는 인터넷을 활용중이거나 활용의사가 있는 경영체
- 컨설팅지원내용
- 사업계획서 작성 지도, 기술, 경영지도 및 마케팅, 재무회계 등에 종합컨설팅(부분컨설팅 가능)
- 컨설팅비용
- 절반은 보조, 나머지 절반은 자부담
(보조금은 법인의 경우 700만원 이내, 개인의 경우 350만원 이내)
- 절반은 보조, 나머지 절반은 자부담
- 신청방법
- 농업기술센터에 신청
- 지원제외 대상
- 키낮은 밀식사과원을 제외한 신규과원조성 또는 묘목생산농가에 대한 시설, 개보수, 운전자금 지원 제한
- 양돈, 양계(육계, 산란계 포함)분야에 대한 신규시설설치(증축포함)자금 지원 제한
- 대구획경지재정리지역 또는 농업진흥지역의『논』에 벼 이외의 타작물 재배 및 시설설치시 자금지원 제한
- 신청자격
- 농산물저온저장고설치사업
- 1. 목적
- 농산물을 저장 신선도 유지로 상품성 제고 및 경쟁력 강화
- 장기간 저장 수급조절로 가격안정 도모
- 적정가격 형성시 출하 농가소득증대
- 2. 추진방향
- 지원대상자 적정성여부, 집단성, 재배경력, 경영능력, 자부담 및 경영 자금 확보능력 등을 종합적으로 판단하여 우선순위 부여 사업자 선정
- 건축 및 기계설치는 건실한 시공업체의 설계도서에 의하여 추진
- 건실한 시공업체 선정 조기완공하여 저온저장고 활용도 제고
- 사업추진 공정별 수시확인 완벽한 공사감리
- 3. 추진계획
- 총사업비 : 75,000천원〔도비 11,250천원(15%), 군비 26,250천원(35%), 자담 37,500천원(50%)〕
- 사 업 량 : 25평
- 추진일정
- 사업계획시달 및 사업신청 : 2월
- 대상자 현지조사 및 선정 : 3월
- 보조금교부신청 : 4월
- 보조금교부결정 통보 및 사업착공 : 5월
- 조기완공(준공) 및 사업정산 : 11월
- 1. 목적
'풀그림펜션'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황토염색 체험 (0) | 2011.11.22 |
---|---|
말벌에 쏘여 포기한 양봉 (0) | 2011.11.20 |
부지조성(2) (0) | 2011.11.19 |
부지조성(1) (0) | 2011.11.19 |
2011년 7월 7일 오후 09:30 (0) | 2011.07.07 |